끝없는 백종원 논란
백종원이 원산지표시 위반, 농업진흥법 위반, 가스안전법 위반에 이어 식품위생법 위반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그간 방송에서 식품 위생에 대해 강조하며 출연자들을 질책했던 모습과 대조되는 이번 농약통 논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백종원 농약통 논란, 유튜버 실험으로 내부 오염 확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지역 축제에서 농약통에 소스를 담아 살포하신 행위에 대해 '문제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가운데, 최근 한 유튜버의 실험을 통해 해당 농약통 내부의 위생 상태가 공개되어 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 유튜버의 실험으로 드러난 농약통 내부 상태
지난 3월 29일, 한 유튜브 채널은 '농약통 사과주스 더러운걸까?라는 주제로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백종원 대표 아이디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습니다. 해당 채널 운영자는 백종원 대표가 사용한 것과 동일한 모델의 농약통을 구입해 직접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농약통은 구조적으로 내부를 완전히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운영자는 비눗물을 넣고 세 차례 흔드는 방식으로 세척한 후,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농약통을 분해했습니다. 식용유를 묻힌 천으로 내부를 닦았을 때, 내부와 바닥 면에서 상당량의 녹이 묻어 나왔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압력을 통해 액체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실린더 부분이었습니다. 실린더 외부에서는 기름이 다량 발견되었으며, 실린더 하단부를 잘라 확인한 내부에서도 기름이 검출됐습니다. 유튜버는 "비눗물로 세척한 것이 무색할 정도"라며, 실린더 하단부를 물에 담갔을 때 '구리스 하이볼'처럼 기름이 떠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
## 식품위생법 위반 논란과 법적 쟁점
백종원 대표는 2023년 11월 20일 충남 홍성군에서 열린 지역 축제에서 자사 직원들에게 농약통에 소스를 담아 살포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이 행위가 뒤늦게 알려지면서 식품위생법 위반 논란이 일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식품 조리 시에는 반드시 '식품용' 기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식품용으로 인증되지 않은 기구에서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용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식품위생법 제9조 4항은 식약처의 기준과 규격을 충족하지 않은 기구는 영업에 사용할 수 없다고 규정하며, 위반 시 같은 법 제95조 1호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더본코리아 측은 "분무기 사용과 관련해 현행법상 규제 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다만 관할 부서와 협의한 결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는 안내를 받았다"고 해명했습니다.
현재 홍성군 보건행정과는 지난 3월 17일 국민신문고를 통해 백 대표를 식품위생법 제95조에 따라 처벌해달라는 내용의 민원을 접수한 상태입니다.
## 대중의 반응과 백종원 대표의 사과
유튜브 영상이 공개된 후, 많은 네티즌들은 충격과 실망감을 표현했습니다. "뻑뻑하지 말라고 공업용 구리스가 발라져 있는 기구에 소스를 넣어 고기에 뿌렸다니 이해할 수 없다", "자기 가족이 먹는 음식에도 저랬을까", "진짜 충격이다" 등의 댓글이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자 백종원 대표는 지난 3월 28일 서울 서초구에서 열린 더본코리아 정기주주총회에 참석해 주주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습니다. 주총 이후 취재진과의 만남에서 그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논란들이 소소해 보일 수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며, "모든 부분에서 준비가 부족했고, 앞으로 놓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당연히 고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식품 안전에 대한 경각심 높아져
이번 사건은 식품 조리 및 제공 과정에서의 위생과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외식업계의 대표적 인물인 백종원 대표의 사례이기에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식품위생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와 법적 판단이 어떻게 내려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또한 이번 사건을 통해 비단 백종원씨뿐 아니라 식품 업계 전반에 걸쳐 더욱 엄격한 위생 관리와 안전 기준이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