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 1천만 원 투자, 지금은 129억 원…강릉시 김홍수 의원 '암호화폐 대박'
“이 정도면 인생 역전 아닐까요?”
최근 공개된 2025년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신고에서 눈에 띄는 고위공직자가 등장했습니다. 강릉시의회 김홍수 의원이 바로 그 주인공인데요. 7년 전, 단 1천만 원을 투자했던 암호화폐가 무려 129억 원의 가치를 기록하면서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공직자윤리시스템에 따르면 김 의원은 고위공직자 중 가장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계셨습니다. 그 금액은 129억3,677만 원, 지난해보다 약 13억 원 증가한 수치인데요. 이로써 전체 재산(134억3,846만 원) 중 96%가 암호화폐인 셈입니다.
김 의원이 보유한 암호화폐는 OES 코인 19만 5,555개, 도너클 코인 24만 개로, 지난 2018년 개당 약 23원 수준에서 매입하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총 투자금은 약 1,000만 원이었으며, 이후 7년간 단 한 번도 매도하지 않으시고 보유만 해오셨다고 합니다. 현재 이들 암호화폐는 개당 약 29,000원 수준까지 치솟으면서 총 가치가 129억 원에 이르게 된 것이죠.
김 의원은 재산 신고서에서 “가상자산의 보유량은 이전과 동일하나, 시장 가격 및 환율의 변화에 따라 평가 금액이 달라졌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사례는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매우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비교적 안정적인 대표 코인인 **비트코인(BTC)**의 경우, 2018년 이후 현재까지 약 12배 상승했고, **이더리움(ETH)**도 약 4.5배에 그친 바 있습니다. 반면 김 의원이 매입하신 코인은 무려 1,000배 이상의 상승폭을 보였다는 점에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놀라운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익 실현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김 의원이 보유하신 암호화폐는 현재 업비트나 빗썸 같은 국내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거래되지 않고 있으며, 유니스왑(Uniswap) 등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만 제한적으로 거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OES 코인은 유니스왑에서 거래는 가능하지만 유동성이 낮아 대규모 매매가 어려우며, 도너클 코인은 유니스왑이나 스시스왑(SushiSwap) 등 주요 DEX에서도 거래 내역이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김 의원이 암호화폐를 매도하지 않고 장기간 보유해온 것도 단순한 전략적 선택이 아니라, 현금화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공직자 재산 신고를 통해 드러난 이번 사례는, 암호화폐 시장의 고위험·고수익 구조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투자 수익률만 놓고 보면 꿈만 같지만, 거래소 상장 여부와 유동성 문제로 인해 현실적인 가치 실현에는 한계가 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도 적지 않습니다.
앞으로 김 의원이 이 막대한 암호화폐 자산을 어떻게 관리하고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